Overview
이 강의는 조선 말기부터 대한민국 근현대사까지의 변천사를 주요 사건·정책 중심으로 요약하여 설명합니다. 격동의 시대별 핵심 사건과 개혁, 독립운동, 민주주의 발전 과정을 다룹니다.
조선 후기의 개혁과 외세의 침입
- 흥선대원군은 세도정치 타파, 서원 철폐, 군제 개혁 등 왕권강화 정책 시행.
- 서양 열강과 일본의 통상 요구(병인양요, 신미양요, 운요호 사건 등)에 강경 대응.
- 강화도 조약(1876) 체결로 조선 최초 근대적 불평등 조약 체제 진입.
개화와 근대 국가 수립 운동
- 온건/급진 개화파로 나뉘어 동도서기론(온건), 문명개화론(급진) 주장.
- 갑신정변(1884), 동학농민운동(1894), 갑오·을미·광무개혁 등 근대화 시도.
- 독립협회, 만민공동회 등 자주 국권·민권 운동 전개.
일제 강점기와 민족 운동
- 1910년 한일병합으로 식민지 시작, 조선총독부 무단통치 실시.
- 토지조사사업·회사령 등으로 경제 수탈과 사회 통제 강화.
- 3·1운동(1919),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다양한 독립운동(무장투쟁, 의열투쟁, 사회주의·민족운동 등) 전개.
해방과 분단, 대한민국 정부 수립
- 1945년 8월 15일 광복, 38도선 기준 남북 분할 점령.
- 좌우합작운동, 남북협상 실패 후 1948년 대한민국 정부 수립, 북한도 인민공화국 수립.
한국전쟁(6·25)과 이후 사회 변화
- 1950년 6월 북한 남침, 유엔군 개입·중공군 참전, 1953년 휴전.
- 한국전쟁으로 경제·사회적 피해, 미국 원조에 의존한 재건 시작.
이승만 정권과 4·19혁명
- 반공 독재, 부정부패, 장기집권(발·사사오입 개헌).
- 3·15 부정선거로 4·19혁명 발생, 이승만 하야, 내각책임제 도입.
군사정권과 경제개발
- 5·16 군사 정변(1961), 박정희 정부 출범, 경제개발 5개년 계획 추진.
- 한일협정·베트남파병, 중화학공업화, 새마을운동 등 고도성장.
민주화 운동과 헌정 변화
- 유신체제(1972~1979), 10월 유신, 비상조치 등 장기독재.
- 5·18 광주 민주화운동, 신군부 집권, 6월 민주항쟁(1987)으로 대통령 직선제 도입.
현대 사회와 민주주의 발전
- 문민정부(김영삼), IMF 외환위기(1997), 최초 평화적 정권교체(김대중).
- 남북정상회담, 민주주의와 경제 성장, 각종 사회 개혁 누적.
Key Terms & Definitions
- 세도정치 — 일부 가문이 권력 독점, 부정부패 심 화된 정치 형태
- 강화도 조약 — 1876년 조선과 일본 간 체결된 최초의 근대적 불평등 조약
- 동도서기론 — 전통 유학 지키며 서양 기술만 수용하자는 온건개화파 이론
- 3·1운동 — 1919년 민족자결과 독립을 외친 대규모 비폭력 만세 운동
- 임시정부 — 상하이에서 수립된 대한민국 임시 독립운동 정부
- 유신체제 — 1972년 박정희 정권의 장기집권 헌법(대통령 권한 대폭 강화)
- 5·18 민주화운동 — 1980년 광주 민주화 시위, 신군부에 의해 무력 진압
- 6월 민주항쟁 — 1987년 대통령 직선제 쟁취한 전국적 민주화 운동
Action Items / Next Steps
- 20C 개항기~현대사 연표 작성 및 중요 사건별 원인·결과 정리
- 주요 조약 및 개혁 정책 내용 암기
- 각 시기별 사회 · 경제적 변화 비교 분석
- 3·1운동, 4·19혁명, 5·18 민주화운동 등 주요 운동 서술형 대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