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conote
AI notes
AI voice & video notes
Try for free
📜
고대부터 조선 후기 신분제 연구
May 26, 2025
📄
View transcript
🤓
Take quiz
🃏
Review flashcards
림쌤의 10분 역사: 고대부터 조선 후기까지의 신분제와 사회 구조
전근대 신분제 사회 개요
신분제 사회는 지배층과 피지배층으로 나뉨.
신분은 혈통에 따라 세습되며, 개인의 능력과 관련 없음.
삼국 시대의 신분제
고구려
: 귀족과 관직에 있는 관인이 지배층, 평민과 천민이 피지배층.
진대법: 봄에 곡식을 빌려주고 가을에 갚게 하는 제도.
전쟁에서 패한 자에 대한 엄중한 형벌.
백제
: 왕족 부여 씨와 팔성의 귀족이 지배층.
전쟁 패배자, 반역자 등에게 엄중한 형벌.
신라
화백 회의: 만장일치 제도.
화랑도: 청소년 수련 단체에서 국가 기관으로 발전.
골품제: 선골과 육두품 등으로 구분하여 일상생활 규제.
남북국 시대
발해
: 지배층은 고구려인, 피지배층은 말갈인.
고려 시대의 신분제
양인과 천인으로 나뉨.
양인
: 지배층(왕족, 중앙 고위 관리, 상급 향리)과 중류층(서리, 향리, 하급 장교 등)으로 세분화.
양인은 과거 응시 가능, 세습 가능한 지역과 토지를 받음.
천인
: 대부분 노비로 간주, 매매와 상속 가능.
공노비와 사노비로 나뉨.
신분 상승 가능성 존재.
고려 사회 특징
지역 간 차별 존재.
본관제를 통해 출신 지역 표기 엄격히 시행.
여성의 높은 지위.
재산 균분 상속, 재혼 가능.
상피제: 같은 친족간 같은 관청 근무 불가.
조선 시대의 신분제
양천제
: 양인(자유민)과 천인(부자유민)으로 구분.
실질적으로는 양반, 중인, 상민, 천민으로 구분.
양반: 지배층으로 많은 특권 소유.
중인: 하급 관리, 과거 문과 응시 불가.
상민: 조세와 공납 의무 있음.
천민: 대부분 노비, 매매와 상속 대상.
조선 후기 신분제 변화
모내기법의 확산으로 농민층 분화, 분홍 생김.
납속과 공명첩을 통해 양반으로 신분 상승 가능.
양반 수 증가, 노비 수 감소.
향촌 사회의 변화: 양반의 권위 약화, 수령과 향리 권한 강화.
신분 상승 운동: 중인과 서얼의 신분 상승 요구.
조선의 가족 제도 변화
초기 남성과 여성의 관계 비교적 평등.
성리학적 질서로 부계 중심으로 변화.
장자 중심의 제사와 재산 상속, 시집살이 일반화.
결론
고대부터 조선 후기까지의 사회 구조와 신분제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
복습과 문제풀이 중요.
📄
Full transcrip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