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conote
AI notes
AI voice & video notes
Try for free
📈
거시경제학의 기본 개념과 흐름
Oct 22, 2024
거시경제학 개론
거시경제학과 미시경제학
거시경제학은 경제 전체를 아우르는 학문으로, 전체 경제의 동향을 파악
미시경제학은 개별 경제 주체의 행동을 분석
거시경제학은 숲을 보는 관점, 미시경제학은 나무를 보는 관점
시장의 기능
시장은 가격을 통해 경제를 조절
가격이 제 기능을 못하면 시장 실패 발생
시장 실패는 시장의 경직성과 비신축성으로 인해 발생
대공황과 케인즈
1929년 대공황 발생: 시장이 재기능을 하지 못한 대표적 사례
케인즈는 기존 경제학자들과 다른 시각 제시
기존의 고전학파는 시장의 보이지 않는 손을 신뢰하고 기다릴 것을 조언
케인즈는 수요 중심적 접근을 제안
정부의 적극적 개입이 필요하다고 주장
케인즈의 일반 이론
케인즈의 일반 이론: 대공황의 원인을 진단하고 해결책 제시
경제 침체와 높은 실업률의 원인 분석
수요를 중시하며, 정부의 적극적 개입을 강조
경제 순환과 경기 변동
경제 성장은 장기적, 경기 변동은 단기적 요인
경제가 침체되면 실업 증가, 디플레이션 발생
경제가 과열되면 인플레이션 발생
정부의 역할
케인즈 학파: 정부의 적극적 개입을 주장
고전학파: 시장의 자율조정과 작은 정부를 강조
케인즈는 큰 정부와 적자 재정 강조
현대 경제학의 흐름
케인즈 학파와 고전학파의 대립
1970년대 오일쇼크로 스태그플레이션 발생
세케인즈학파와 세고전학파로 발전
학습 팁
케인즈와 고전학파의 차이를 이해하고, 거시경제학의 흐름을 파악
다양한 자료와 강의를 참고하여 학습
실생활과 관련된 경제 상황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
참고자료
케인즈와 하이에크의 랩 비디오 시청 추천
유튜브 '커맨딩 하이츠' 다큐멘터리 시청 추천
📄
Full transcrip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