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verview
이 강의는 미얀마어의 음절 구조와 기본 자음 33개, 단모음 7개(성조 포함)의 결합법 및 발음, 쓰기 방법에 대해 다룹니다.
음절의 개념과 구조
- 음절은 자음과 모음이 한꺼번에 소리 날 수 있게 묶인 결합체임.
- 한국어 예시: '나무'는 '나', '무' 두 음절로 이루어짐.
- 한 음절이 되려면 최소 자음과 모음이 결합해야 함.
미얀마어 음절과 결합 연습
- 미얀마어 음절은 보통 초성(자음)과 중성(모음) 구조를 가짐.
- 기본 단모음 7개(아이우에에어오)에 각각 3개의 성조가 있음(총 21개 단모음).
- 33개의 자음과 단모음+성조 결합을 반복 연습함.
각 자음별 발음 연습
- '까', '카', '가' 등 각 자음에 7개 단모음과 3성조를 결합한 다양한 발음을 연습함.
- 한국어에는 없는 발음(예: 초성 ng 소리)도 있음, 정확한 발음 연습 필요.
- 일부 자음과 모음 결합 시 한국어와 다른 방식으로 발음·표기함(예: ㅅ+ㅣ가 시가 아님).
미얀마어 글씨 쓰기 규칙과 예외
- 특정 자음(가, 와 등)과 모음(아 등) 결합 시 글씨 모양이 겹치면 특수한 표기법을 사용함.
- 같은 소리의 모음이라도 자음과 결합 시 글자 모양이 달라질 수 있음.
자음과 모음 결합으로 단어 만들기
- 자음과 단모음 결합만으로 다양한 단어를 만들 수 있음.
- 예시: 미(불), 모(비) 등 실전 단어 학습 가능.
Key Terms & Definitions
- 음절 — 자음과 모음의 결합체로 한 번에 소리 날 수 있는 단위
- 단모음 — 미얀마어의 기본 모음 7가지(아이우에에어오)
- 성조 — 같은 모음이 3가지 높낮이(성조)로 발음됨
Action Items / Next Steps
- 33개 자음과 7개 단모음, 3성조 결합 발음 및 쓰기 반복 연습
- 기본 자음과 단모음 결합 단어 암기
- 특수 글씨 쓰기 규칙 복습 및 예시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