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verview
이번 강의는 구글 스칼라를 활용한 논문 검색 노하우, 검색식을 통한 효율적 검색법, 최신 연구동향 팔로우 및 논문 관리 팁에 대해 다룹니다.
논문 검색의 중요성
- 성공적인 연구는 정확한 참고문헌 검색에서 시작됨.
- 검색 방식에 따라 연구 방향과 질이 크게 달라질 수 있음.
- 키워드 선정이 논문 검색의 핵심임.
구글 스칼라 검색식 활용법
- AND(교집합), OR(합집합), NOT(차집합)을 활용해 키워드를 결합하거나 제외 가능.
- OR은 반드시 대문자로, NOT 대신 하이픈(-)을 사용해야 함.
- 큰따옴표("")로 구문 검색 시 정확히 일치하는 문구만 결과에 포함됨.
- allintitle: 검색어가 논문 제목에만 포함된 자료만 검색됨.
- source:특정 저널에 게재된 논문만 필터링 가능(예: source:Nature).
최신 연구동향 자동 팔로우
- allintitle과 source를 결합해 원하는 주제와 저널 논문만 자동 알림 설정 가능.
- 구글 스칼라 알림 기능으로 최신 논문이 나오면 이메일로 알림 수신.
- 자주 찾는 저자(author:)의 논문도 알림 기능으로 팔로우 가능.
논문 아이디어/키워드 찾기
- 자동 완성 기능(A부터 Z까지)으로 연관 키워드, 최신 트렌드 파악 가능.
- 새로운 연구 분야 접할 때 키워드 수집에 유용.
레퍼런스 확장 및 논문 관리
- 관련 학술 자료 클릭 시 유사 논문과 관련 문장 요약을 한눈에 볼 수 있음.
- 논문 읽기 및 정리엔 크롬 확장 프로그램(문나이트) 활용 가능.
- 인용 버튼 클릭해 레퍼런스 관리 프로그램에 쉽게 추가.
논문 읽기와 피규어 해석
- 바이오 논문 피규어 등 초보자에게 어려운 부분은 논문 읽기 가이드북 참고.
- AI 툴로 자동 해석은 한계가 있으니 기본기를 갖추는 것이 중요.
Key Terms & Definitions
- 구글 스칼라(Google Scholar) — 논문, 학술자료를 검색할 수 있는 무료 서비스.
- allintitle: — 입력한 단어가 모두 논문 제목에 포함된 자료만 검색함.
- source: — 특정 저널에 실린 논문만 필터링할 때 사용.
- 알림(Alerts) — 검색식에 맞는 새로운 논문이 올라올 때 자동으로 이메일 알림.
- 논문 인용(Citation) — 논문 내 다른 논문을 참고문헌으로 삽입하는 기능.
Action Items / Next Steps
- 내 연구 주제에 맞는 구글 스칼라 검색식 직접 작성 및 알림 기능 설정.
- 자동 완성 기능으로 키워드 리스트 작성해 엑셀 등에 정리.
- 관련 학술 자료 및 인용 기능 활용해 논문 정리 습관화.
- 논문 읽기와 피규어 해석이 어려울 시 가이드북 참고.